문학
  사회과학
  인문과학
  자연과학
  철학
  아동도서
  청소년 도서
  수입도서
  특수도서
  사전
  전집/역사소설
  기타 학문
지역을 선택하세요.
현재위치 : 처음 >인문과학 >상세 상품정보  
도서명 : 한.중.일 석유전쟁

한.중.일 석유전쟁
출판사 : 한스미디어
출판년도 : 2006.03.20
지은이 : 박병구
ISBN : 895975031X
책 쪽수 : 334 page
정가 : 15,000
 


한.중.일 석유전쟁
박병구| 한스미디어(한즈미디어)| 2006.03.20 | 334p | ISBN : 895975031X

** 석유를 둘러싼 치열한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현대 사회에서 석유는 그 어떤 자원보다도 소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전략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석유는 경제, 군사, 정치안정,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심지어 석유로 대변되는 에너지의 안정적인 확보가 보장되었을 때 국가안보도 보장되는 것이 현실이다. 오늘날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쟁의 대부분은 석유를 비롯한 에너지 자원 때문이다. 미국의 이라크 침공의 원인이 석유확보에 있었다는 것은 이제 공공연한 사실이다. 석유가 세계의 지도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 세계3대 석유수입국 중의 하나이자, 세계6위의 석유소비국이다. 숙명적으로 석유자원확보라는 과제를 안고 주변국들과 갈등과 협력의 관계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그런한 맥락에서 석유는 아시아 경제성장의 생명선이라 할 수 있다. 중국과 인도의 가파른 경제성장은 그들을 일본, 한국에 뒤이은 석유 수입대국으로 만들었다. 한국과 중국, 일본, 인도는 중동지역 국가들과의 경제, 외교관계 강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아울러 유전 지분을 적극적으로 대량 매입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의 이러한 석유안보정책은 세계유일의 초강대국 미국의 관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바야흐로 세계는 그 누구도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치열한 에너지 전쟁을 치르고 있는 것이다.

< 차 례 >
머리말

제1부 세계경제의 핵, 중국과 석유
1. 중국의 경제성장과 석유
2. 중국의 해양안보와 석유

제2부 중앙아시아 석유를 둘러싼 강대국 사이의 경쟁
1. 중앙아시아의 생존공간
2. 미래의 석유보고 중앙아시아
3. 미국과 중앙아시아
4. 미국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5. 러시아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6. 중국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7. 인도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8. 중국과 상해협력기구
9. 일본과 중앙아시아

제3부 러시아유전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충돌
1. 석유는 러시아 외교의 최대무기
2. 러시아는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
3. 중러관계의 변천과정과 발전전망

제4부 서해유전을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경쟁
1. 한국의 서해유전개발
2. 제7광구, 검은 진주

제5부 태평양을 둘러싼 에너지전쟁
1. 일본의 해양전략사
2. 미국과 일본의 극동, 태평양 쟁탈사
3. 21세기 일본의 해양전략구상

제6부 동중국해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석유충돌
1. 중국과 일본의 갈등

제7부 미국과 석유, 그리고 동북아시아
1. 미국과 소련의 중동석유정책
2. 미국의 전략석유비축
3. 중미 중동석유갈등
4. 남중국해에서의 중미석유충돌
5. 미국과 일본의 석유갈등
6. 21세기 미국의 에너지안보전략

제8부 중국과 미국의 패권경쟁
1. 해상패권의 흥망
2. 정화의 해양개척역사
3. 패권국가의 조건
4. 되돌아보는 중미관계
5. 중미관계의 규율성
6. 중미관계와 한반도
7. 중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사고와 심리상태

제9부 동아시아 에너지 공동체
1. 에너지를 화합의 촉매제로

참고문헌

이 상품에 대한 총 0 개의 이용후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