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편자 서문
제 1 부 기술변동·계급이론·노동운동론의 재건
제 1 장 과학기술혁명과 노동운동
제 2 장 자본주의적 생산과정의 역사적 벌전과 지식 프롤레타리아트의 출현
제 3 장 독점적 자본관계와 기업지배구조의 변동
제 4 장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계급이론의 재건
제 2 부 사회주의 개혁의 제문제
제 5 장 '더 ?은 사회주의'로서의 소련 페레스트로이카
제 6 장 소·동구권의 혁명적 체제 개혁과 사회주의 이념의 전면적 자기구현 과정
제 7 장 프롤레타리아 독재론과 전인민국가론의 제문제
제 8 장 마르크스주의 과연 위기인가
과학기술의 진보와 함께 새로운 사회변혁의 세력으로 등장한 지식 프롤레타리아와 1980년대의 후반과 90년대의 초반에 중부 및 동부유럽에서 진행된 일련의 혁명적 변화는 이제 역사적 사실로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20세기말과 그 이후 세계사의 장래를 전망할 하나의 중요한 시각과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화 같은 현실 세계의 거대한 변화는 유물론에 군거한 역사해석의 새로운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가 축수해야 하는 작업의 첫 단계는 변화의 실체를 정확하게 포착하고 이것의 내재적 운동과정을 올바르게 해석하는 일이다. 그 다음은 이것의 운동과정을 하나의 경향, 그리고 추세와 동향으로 현상을 파악하여 현실의 실천과제를 위한 이론적 작업의 근거로서 위치 지워져야 할 것이다.